Exercise 01 : print_groups groups $FT_USER | sed 's/ /,/g' | tr -d '\\n' groups를 이용한 코드 Exercise 02 : find_sh find . -type f -name "*.sh" -exec basename {} \\; | sed 's/.sh$//g' find . -type f -name "*.sh" -exec basename {} .sh \\; -> basename으로 한번에 경로명과 확장자를 지울 수 있는 코드. type f : 조건에 만족하는 파일을 찾는 옵션 조건 [파일을 찾아라]를 만족시킴 find : 파일 및 디렉토리를 검색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 : 조건 [현재 디렉토리와 그 하위 디렉토리에서 찾아라] name “*.sh” ..
Exercise 06 : gitignore .gitignore : Github 원격 서버에 로컬 프로젝트를 올릴 때 불필요한 로그 파일들은 업데이트 하지 않도록 무시할 파일들 목록을 만드는 것. .gitignore 파일 만드는 법 : touch .gitignore cf)Git Bash에 들어가 .git이 있는 내 git 프로젝트의 루트 디렉터리에 cd 명령어를 통해 들어간 후 위와 같은 명령어를 실행해 .gitignore 파일을 만들어준다. 사실 메모장으로 만드는 방법도 있지만 “.txt”가 뒤에 붙을 우려 때문에 이 방법을 더 추천한다. .gitignore은 반드시 루트 디렉터리에 있어야 한다. #!/bin/bash #.sh파일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코드 git ls-files --others..
글을 시작하기 전 회고에도 간략히 썼지만, 라피신은 이미 온라인상에 정답 코드가 많이 떠돌고 있다. 그럼에도 본인이 작성한 코드를 남에게 설명하며 질문에 완벽히 방어를 할 수 있어야만 동료 평가에서 좋은 결과를 받는다. 사실 나는 라피신에 정답 코드가 돌아다닌다는 것을 거의 라피신 끝나갈 떄 알았다^_^ 그래서 다 같이 물에 구명조끼도 없이 물에서 수영하는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다들 보트, 오리배 등등 준비하셨고 혼자 맨몸수영 하고있었던....ㅎㅎ 하지만, 그럼에도 라피신에 불합격 한 이유는 내가 모르는 내용이 많았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 나에겐 합격보다 더 귀한 실패였다. 그래서 나는 노션에 모든 문제에 대해서 정말 하나부터 열까지 다 정리하면서 동료평가를 했었는데, 그래서 동료평가에서도 이 부분에 대하..
22년 1월 31일 ~ 22년 2월 25일까지 진행되었던 라피신 6기 2차의 결과가 3월 3일 오후 7시 25분에 나왔다. 42분에 맞춰서 결과가 나왔다 혹은 나온다는 예상도 있었는데, 예상치 못한 시간에 나왔다. 어느 정도는 예상하고 있었지만, 결과는 역시나 불합격. 합격 후기는 많은데, 불합격 후기는 찾아보기 힘들길래 혹시 다음 기수에 도전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될까 해서 글을 쓰기로 마음먹었다. 나의 라피신 결과 1. 출석 : 출석은 최소 주 50시간 이상 꾸준하게 클러스터에 상주해있었다. 2. 시험 : exam00, exam01, exam02, final exam까지 총 4번의 시험에서 꾸준하게 상향 곡선을 그렸으나, 첫 시험은 0점이었고 마지막 final exam은 60점이었다. 3. 진도 : C..